[뉴스메이커] 앤서니 파우치<br /><br />뉴스 속 주인공을 알아보는 시간 뉴스메이커입니다.<br /><br />미국의 코로나19 대응을 이끌어 온 앤서니 파우치 미국 국립 알레르기·전염병연구소 소장이 연내에 사임하겠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파우치 소장을 오늘의 뉴스메이커에서 만나보죠.<br /><br />미국의 방역 대통령.<br /><br />파우치 소장을 부르는 또 다른 호칭입니다.<br /><br />파우치 소장은 1984년부터 무려 38년간 미 국립 알레르기·전염병연구소 소장을 역임하며 총 7명의 대통령을 보좌했는데요.<br /><br />그동안 미국 공중보건의 위기를 불러왔던 에이즈와 에볼라 바이러스, 지카 바이러스에 탄저병 공포 사태 그리고 코로나19 팬데믹에 이르기까지 그는 방역 위기 최전선에서 38년이라는 시간 동안 국가적 대응을 이끌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파우치 소장은 팬데믹이 한창이던 때 하루에 서너 시간만 잠을 자며 주 7일을 쉬지 않고 일해온 것으로 전해지는데요.<br /><br />하루 2천 통이 넘는 이메일을 보낸 것으로도 유명합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코로나19 확산 초기, 그는 오히려 정부로부터 해고 위기에 놓이기도 했는데요.<br /><br />팬데믹 대처법을 놓고 트럼프 전 대통령과의 마찰이 있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파우치 소장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코로나19의 위험성을 수 차례 경고하며 선제 대응을 주문했는데요.<br /><br />트럼프 대통령은 오히려 파우치 소장의 말을 황당한 주장으로 치부하며 그를 '재앙적인 존재'라고 불렀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결국 그의 경고대로 미국 내 코로나19 환자의 사망 건수가 급격히 증가했고, 트럼프 대통령도 뒤늦게나마 파우치 소장이 강조했던 백신 개발과 접종에 속도를 냈는데요.<br /><br />이를 계기로 '방역 사령탑' 파우치 소장에 대한 미국 내 신뢰는 더욱 높아졌습니다.<br /><br />올해로 한국 나이 81세인 파우치 소장.<br /><br />국립 알레르기·전염병연구소 소장에선 물러나지만, 결코 은퇴가 아니고, 인생의 새 장을 열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는데요.<br /><br />그는 앞으로 있을지 모를 전염병 퇴치에 계속 기여하고 싶다는 뜻도 밝혔습니다.<br /><br />그의 새로운 도전은 의료계 발전에 어떤 영향을 주게 될까요.<br /><br />지금까지 뉴스메이커였습니다.<br /><br />#코로나19 #미국_방역대통령 #전염병_퇴치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